전 세계시장에서 하루에 거래되고 있는 ETF 상품 수는 무려 1만 개가 넘는다. 그 규모 또한 1경 6700조 원에 달한다.
우리나라에서도 ETF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 그중에서도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는 월배당 커버드콜 ETF 상품이 인기다.
경제상황이 불안할 때 더욱 관심이 높아진다는 커버드 콜 ETF의 장단점 및 수익률 그리고 주의점 등에 알아본다.
* 목 차 *
서론
1. 커버드콜이란?
2. 커버드콜 수익구조
3. 월배당 커버드콜 ETF
4. 월배당 커버드콜 ETF 장점
5. 국내 주요 월배당 커버드콜 ETF 현황과 수익률
6. 월배당 커버드콜 ETF 주의사항
결론
1. 커버드콜이란?
먼저 콜옵션과 풋옵션에 대한 내용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콜옵션은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반대로 풋옵션은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콜옵션의 경우 주가가 오르면 이익을 얻는 구조이며, 주가가 하락하면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파생상품이다.
커버드콜이란 주식이나 채권 등 기초자산을 보유하면서 그 기초자산을 특정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인 콜옵션을 매도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이다.
콜옵션을 매도하면, 매도자는 매수자에게 프리미엄을 받게 된다. 이러한 프리미엄은 횡보장 하에서는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
2. 커버드콜 수익구조
파생상품의 구조는 좀 복잡하다. 따라서 투자자가 커버드콜 전략을 이용한 금융상품을 제대로 이해하고 투자하기가 쉽지는 않다. 이하에서는 커버드콜의 수익구조에 대해서 알아본다.
예를 들어 1만 원짜리 A주식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리고 1만 1000원에 A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를 매도한다고 하자. 그러면 A주식이 1만 1000원이 될 때까지는 그 권리를 매수한 매수자는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콜옵션 매수자는 1만 1000원이 넘어서야만 자신이 매수했던 콜옵션을 행사할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주식이 1만 5천 원이 되면 콜옵션을 행사해서 1만 1000원에 매수를 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다시 매도하면 4천 원(1만 5천 원-1만 1천 원)의 이익을 볼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매도한 매도자는 그 권리를 팔았던 대가로 프리미엄(콜옵션 가격)을 받을 것이고 1만 1000원 미만에서는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1만 1000원을 넘어서게 되면 매수자가 권리를 행사할 것이므로 더 이상 시세 차익은 거두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커버드콜 매도자는
A주식이 1만 1000원 미만일 경우에는
시세차익과 옵션프리미엄을 누린다.
그러나 A주식이 1만 1000원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에는
수익이 제한된다.
따라서 커버드콜 전략은 상승장에서는
불리한 전략이다.
3. 월배당커버드콜 ETF
월배당커버드콜 ETF는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는 ETF 금융상품을 말한다.
기초자산을 추종하는 주식 등에 콜옵션 프리미엄을 더하는 상품구조인 것이다.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과 함께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이자와 배당 수입을 재원으로 분배금을 지급하며, 분배금을 매월 지급한다는 의미에서 월배당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5천 원인 현물자산이 있고 이 현물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인 콜옵션을 함께 매도했다고 가정해 보자(옵션 프리미엄은 500원으로 가정)
구매한 현물자산의 가격이 5천 원에서 4,750원으로 250원 하락했다면 현물투자만 한 경우에는 250원의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나 콜옵션을 매도하는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했으므로 500원의 옵션프리미엄이 발생했다. 따라서 500-250=250원의 수익이 발생한 결과가 나온다.
결과적으로 월배당 커버드콜 ETF는 1)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이자와 배당수입의 크기 2) 발생하는 분배금의 안정적 여부가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된다.
4. 월배당 커버드콜 ETF의 장점
1) 고정적 수입
분배금을 월배당으로 지급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ETF보다 좋은 수익률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월배당 커버드콜 ETF가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주가 등 기초자산이 횡보하는 상황이어야 한다.
2) 변동성 완화
콜옵션을 판매하여 얻는 프리미엄은 주식 등 기초자산가격의 하락을 일정 부분 방어할 수 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3) 위험관리에 도움이 된다.
커버드콜 전략은 시장하락 속에서 손실을 줄이는 역할도 수행한다.
4) 투자의 용이성
상품구조는 다소 복잡하지만 투자자입장에서는 옵션을 사고파는 행위를 할 것도 없이 월배당 커버드콜 ETF를 매수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투자가 용이한 측면이 있다.
5) 상품의 다양성
커버드콜 ETF는 주식, 지수, 섹터 등 분야별로 다양한 상품들이 출시되어 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 국내 주요 월배당 커버드콜 ETF 현황과 수익률
6. 월배당 커버드콜 ETF 주의사항
1) 횡보장이나 하락장에서 효과가 있음에 유의하자
커버드콜 ETF는 횡보장 또는 하락장에서 프리미엄을 지급받는다. 만약 보유한 주식이 크게 오르는 상승장이 오면 주가상승으로 발생한 이득이 콜옵션 매도로 인한 손실로 상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2) 고정금리형 상품이 아님에 유의하자
커버드콜 ETF는 시장상황에 따라 수익률이 변동한다. 상품명에 연 15%로 쓰여 있더라는 이는 목표가 제시된 것이지 실제로 15%를 준다는 확정적 의미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주가변동의로 인한 자본 수익률에서는 마이너스(-)가 나올 수 있음을 알고 있어야 한다.
3) 분배금의 원천을 확인할 것
배당 수익률이 고정적으로 지급된다로 하더라도 꼼꼼히 따져보아야 할 부분이다. 왜냐하면 자산에서 수익이 나지 않으면 원금을 깨서 이자나 배당을 지급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으로 커버드콜과 월배당커버드콜 ETF 수익구조, 장점과 수익률 그리고 유의점까지 살펴보았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주식 세금 알아보기 (0) | 2024.08.12 |
---|---|
퇴직연금 현물이전 시행예정 알아보기 (1) | 2024.08.06 |
콜옵션 풋옵션 알아보기 (1) | 2024.08.01 |
노후경유차 조기폐차지원금 서울시 제3차 지원금 (0) | 2024.07.29 |
중소기업확인서 신청과 발급 방법 알아보기 (0)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