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능통장으로 불리는 ISA계좌에 대한 두 번째 포스팅을 해본다. 특히 중개형 ISA계좌를 가입하면 무슨 혜택이 있는지
그리고 매수가능한 금융상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중점적으로 알아본다.
중개형 ISA 가입조건과 납입한도는 이전 포스팅 참조!
* 목 차 *
서론
1. 중개형 ISA 가입 시 혜택
2. 중개형 ISA 가입 유형
3. 중개형 ISA 매수가능금융상품
4. 중개형 ISA 가입 시 주의점
결론
1. 중개형 ISA 가입 시 혜택
2023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중개형 ISA 가입 연령을 보면 개설된 계좌 수 기준으로 50세 전후가 가장 많았다. 가입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해 보면 60세 전후로 가장 많은 금액이 가입되어 있다. 그러나 전 연령대를 통한 중개형 ISA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20대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투자중개형 ISA 연령별 가입 현황/ ISA다모아 자료실 2023년 3분기말 현재]
중개형 ISA를 왜 가입하는 것일까? 중개형 ISA 가입 시 혜택은 무엇일까?
1)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개형 ISA는 계좌 내 상품 간 또는 기간 간에 손익 통산을 한 후에 순소득에 대해서 200만 원까지는 비과세 혜택을 준다. 그리고 200만 원을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는 9.9%(지방세 포함)로 분리과세한다.
다만, 서민형과 농어민형의 경우에는 400만 원까지 비과세, 40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9.9% 분리과세한다.
좀 더 쉬운 예를 들어 보자. 일반계좌에서 배당과 이자소득으로 300만 원의 이익이 난 경우와 중개형 ISA 계좌에서 300만 원 이익이 난 경우 부과되는 세금을 비교해 본다.
1) 일반계좌에서 300만 원 수익이 난 경우 세금 계산
300만 원 × 15.4%= 462.000원 세금이 부과된다.
2) 중개형 ISA에서 300만 원의 수익이 난 경우 세금 계산
중개형 ISA(일반형)에서는 200만 원까지는 비과세가 적용되므로 300만 원의 이익 중에 세금이 부과되는 대상은 100만 원이다.
100만 원 × 15.4%= 99,000원의 세금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중개형 ISA에서는 ISA계좌를 해지 시에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세금 이연효과도 누릴 수 있다.
[일반계좌와 ISA 계좌 비교/ ISA 다모아 자료실 참조]
2) 계좌 해지 시 추가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중개형 ISA 계좌를 해지 시, 해지된 금액을 IRP계좌나 연금저축펀드 계좌로 이체하면 추가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다만, 해지 시 60일 이내에 이체를 해야 하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한도는 이체금액의 10%(최대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체하는 금액이 3천만 원이면 최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된다.
3) 개별주식 및 ETF투자가 가능하다.
중개형 ISA에서는 국내 상장 개별주식과 펀드, ETF(국내 상장 해외 ETF) 등 매수가 가능하다. 다만 개별 해외 주식과 해외 ETF는 매수가 불가능하다. 매수가 가능한 국내 상장 해외 ETF의 예로는 KODEX ETF, TIGER ETF, 아리랑 ETF 등이 있다.
4) 자유롭게 운용이 가능하다.
중개형 ISA는 투자가가 시장상황에 따라 직접 상품을 선택하고 교체하는 등 자유롭게 운용이 가능하다.
2. 중개형 ISA 가입 유형
중개형 ISA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가입할 수 있다. 일반형, 서민형, 농어민형이 그것이다.
일반형의 경우에는 비과세 한도가 200만 원이지만, 서민형과 농어민형으로 가입할 경우에는 400만 원까지 비과세 한도가 적용된다. 서민형과 농어민형은 가입 조건이 있다.
금융사앱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중개형 ISA 계좌를 가입하는 경우에는 모두 일반형으로 가입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으로 중개형 ISA 계좌를 개설할 경우에는 일단 일반형으로 가입 후 '소득증명 확인원'을 국세청 홈택스에서 발급받아 개설하려는 금융사에 제출하면 조건 여하에 따라 서민형과 농어민형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3. 중개형 ISA 매수가능금융상품
중개형 ISA에서 매수가능금융상품은 국내상장주식, 펀드, ETF(국내상장해외 ETF 포함), 채권, 파생결합증권
상장형 수익증권, RP, 리츠, ETN 등이 있다.
다만, 해외 개별 주식과 해외 ETF는 매수가 불가능하다.
2023년 3분기말 기준으로 중개형 ISA 가입자들은 어떠한 금융상품을 주로 담고 있을까? 가장 많은 비율은 '주식'이다. 그다음은 국내 ETF 등 순이다.
[중개형 ISA 가입자 금융상품 비중 현황/ISA 다모아 자료실]
4. 중개형 ISA 가입 시 주의점
앞서도 언급한 내용이지만 먼저 해외 개별주식 투자는 불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ISA는 비과세 혜택을 주는 대신에 최소 3년의 의무 가입기간이 있음을 다시 한번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현금 유동성을 잘 고려하여 납입해야 한다. 만약 3년 의무 가입기간 중에 중도해지하게 되면 기존에 받은 세제 혜택을 모두 반환해야 한다.
이상으로 중개형 ISA 가입 시 혜택과 매수가능금융상품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개형 ISA 계좌 중도해지와 중도인출, 연금저축 및 IRP와 연계하기 (0) | 2024.07.27 |
---|---|
3단계 시행된 상병수당 신청대상과 조건 지원방법 (1) | 2024.07.26 |
절세계좌 중개형 ISA 가입조건과 유형 그리고 납입한도 알아보기 (0) | 2024.07.24 |
취업규칙 변경신고와 절차 및 방법 알아보기 (1) | 2024.07.22 |
산업안전대진단 해야하는 이유와 혜택, 절차와 참여방법 알아보기 (0)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