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주식과 채권의 비중이 자동조정되는 TDF

수퍼 어드바이저 2024. 7. 19. 12:50

TDF가 폭풍 성장하고 있다. 생애주기에 맞춰 주식과 채권의 비중이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TDF는 이미  퇴직연금이나 연금저축 계좌의 주요 포트폴리오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펀드 평가 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의하면 국내 TDF 설정액은 2016년 말 기준으로 663억 원이었으나 2023년 말 기준으로 9조 4883억 원에 달했다. 

TDF썸네일 그림

 

약 8년에 걸친 시간 동안에 163배로 늘어난 수치이며, 연평균 성장률로 보면 161%씩 성장한 셈이다. 이하에서는 TDF에 대한 내용을 알아본다.

TDF성장 8년만에 160배 성장

 


* 목 차 *

들어가며
1. TDF(타깃데이트펀드)?
2. TDF 빈티지의  해석
3. TDF 특징과 장점
 1) 특징
 2) 장점
4. TDF 운용수익률
5. TDF 가입 시 주의점
마치며

1. TDF(타깃데이트펀드)?

TDF는 Target Date Fund의 약자로 투자자의 은퇴시점에 맞춰 주식과 채권의 투자 비중이 미리 정해진 투자 비중경로에 따라서 자동으로 배분되는 자산배분펀드를 말한다. 

 

즉, TDF는 고객의 은퇴시기를 목표시점(타깃데이트)로 정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운용사에서 펀드 내 자산구성 비중을 바꿔주는 것이다. 은퇴시기가 아직 많이 남은 시점이라면 공격적으로 주식에 대한 비중을 높게 가져가다가 은퇴시점이 다가오게 되면 점차로 주식의 비중은 줄이고 채권의 비중을 높여서 안정적으로 자산을 운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고객이나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매번 포트폴리오를 변경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수익성과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2. TDF 빈티지의 해석

각 운용사별로 TDF는 여러 개의 상품으로 출시되어 있다. 즉 TDF명칭 뒤에 일련의 연도가 붙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000 TDF 2025, 000 TDF2035, 000 TDF2045 등등.. 여기서 2025, 2035, 2045 등의 연도를 빈티지라고 표현한다. 

'000 TDF 2035'라는 상품을 해석해 보자 

-000 자산운용사에서 만든 2035년 퇴직할 가입자를 위한 상품이라는 것이다. 
운용사마다 빈티지는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TDF운용 원칙은 같다. 2035년에 퇴직할 시기를 정해놓고 주식과 채권의 비중이 자동적으로 배분된다는 것이다. 현재시점에서는 주식의 비중이 더 높을 수 있겠지만 2035년에 가까워짐에 따라 주식의 비중의 낮아지고 채권의 비중을 높아지는 구조이다. 

 

 

000 TDF2025라면 은퇴할 시점이 다되었기 때문에 자산의 구성이 거의 채권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이며, 000 TDF 2050이라면 현재시점에서 주식의 비중이 상당히 높게 구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2024국내 TDF 설정액 규모

3. TDF 특징과 장점

1) TDF 특징

-자동투자가 가능하다

한 번의 투자로 20여 개의 분산된 포트폴리오에 골고루 분산해서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자동리밸런싱

하나의 상품 가입으로 투자대상에 대한 선택과 투자비중에 대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다. 

 

-자동 리스크관리

은퇴시점에 맞춰서 위험자산 비중 축소, 안전자산의 비중을 확대하여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둘 수 있다. 

 

2) TDF의 장점

대부분의 투자자들(연금저축이나 퇴직연금 가입자들의 경우)은 자신의 자산에 대해 적립만을 신경 쓰는 경향이 있다. 

적립만큼 중요한 것은 수익률을 극대화할 금융상품을 찾고 비중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작 이러한 활동에는 소극적이거나 방관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은퇴시점에 맞춰서 자동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배분해 주는 TDF의 리밸런싱은 가장 큰 장점이라 하겠다. 

은퇴시점에 맞춘 리밸런싱 TDF

4. TDF수익률

작년 말 기준으로 펀드평가사 제로인의 발표에 의한 TDF수익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그러나 2024년도에 접어들어 전 세계적인 반도체 업황이 호조를 띠면서 현재는 순위가 많이 바뀌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세한 TDF수익률은 금융투자협회의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국내TDF장기수익률그래프
제로인 제공: 2023년말 기준

5. TDF가입 시 주의점

TDF상품이 여러 가지 장점도 있기는 하지만 만능인 상품은 아니라는 데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TDF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다른 금융상품과 적절히 배분하여 투자한다면 상당한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TDF는 시장의 변동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TDF는 장기간을 내다보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순간적인 대응력은 좀 늦을 수 있다는 점도 염두해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TDF는 ETF에 비해 수수료 부담이 있다. 많은 운용인력들이 필요한 상품이기 때문이다. 각 상품별로 수수료가 다르기 때문에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글라이드 리서치에서 조사한 2023년 3분기 기준 운용수수료에 관련한 자료이다. 참고할 만하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금융투자협회의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금융회사별 운용수수료
글라이드 리서치/ 2023년 3분기 기준


이상으로 TDF(타깃데이트펀드)의 의미, 빈티지 해석, 특징과 장점, 수익률과 주의점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